Yongmi Cho 조용미


Biography

Soprano Yongmi Cho is an acclaimed vocalist known for her rich tone and delicate musical interpretation that deeply moves her audiences. She graduated from Mokwon University with a degree in Music Education and later pursued her passion for opera in Italy. There, she completed her studies at the P. Mascagni Conservatory of Livorno, receiving professional vocal training, and further honed her artistry through the G. Donizetti Academy’s Advanced Performance Program, solidifying both her academic and artistic foundation.

During her years abroad, Cho distinguished herself on the international stage. She won 1st Prize at the Opera Rinata International Vocal Competition in Italy, earned 2nd Prize at the G. Donizetti Competition, and 3rd Prize at the Kaleidos Competition. These achievements not only highlighted her technical excellence but also shaped her as a performer with global artistry and stage experience.

Since returning to Korea, Cho has been performing actively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in Daejeon and Daegu. She has appeared in numerous recitals, operas, oratorios, and concert collaborations, continuously engaging with audiences through her expressive performances. Particularly noted for her interpretations of Verdi and Puccini, her singing is celebrated for its powerful projection paired with nuanced emotional depth. She also collaborates with local composers, introducing new Korean art songs and expanding her repertoire with creative and meaningful projects.

In addition to her performing career, Cho serves as an Adjunct Professor at Mokwon University, where she is devoted to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singers. Drawing from her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professional insights, she emphasizes the balance between technique and emotion, guiding her students to develop both musical excellence and artistic presence on stage.

For Yongmi Cho, singing is more than producing beautiful sound, it is about touching hearts and conveying genuine emotion. Through her continued international and domestic engagements, she strives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Korean vocal music and to bridge cultures through the power of art. With ongoing dedication to both performance and education, she continues to grow as an artist and inspire those who follow in her footsteps.

소프라노 조용미는 풍부한 성량과 섬세한 해석력으로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성악가다. 목원대학교 음악교육과를 졸업한 뒤, 성악에 대한 깊은 열정을 품고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났다. 리보르노의 P. Mascagni 국립음악원에서 전문적인 성악 교육을 받은 후, G. Donizetti 아카데미 최고연주자 과정을 수료하며 음악적 기반을 더욱 단단히 다졌다.

유학 시절부터 국제 무대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이탈리아 국제 성악 콩쿠르 Opera Rinata 에서 1위를 수상하며 주목을 받았고, G. Donizetti 콩쿠르 2위, Kaleidos 콩쿠르 3위 등 다양한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러한 경험은 그녀가 기술적 완성도를 넘어, 국제적인 감각과 무대 경험을 쌓는 계기가 되었다.

귀국 후에는 대전과 대구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독창회와 오페라, 오라토리오, 협연 무대 등에서 꾸준히 관객과 소통하며, 특히 베르디와 푸치니 등 이탈리아 오페라 작품에서 탁월한 표현력을 선보이고 있다. 그녀의 무대는 풍부한 성량과 섬세한 감정 표현이 조화를 이루며, 깊은 울림을 전한다. 또한 지역 작곡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한국 창작 가곡을 선보이는 등, 폭넓은 레파토리로 새로운 음악적 시도에도 앞장서고 있다.

현재는 목원대학교 겸임 교수로 재직 중이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단순한 기법 전달을 넘어, 해외 무대에서 쌓은 경험과 예술적 통찰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기술과 감성의 균형’을 강조하며, 진정한 무대 예술가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조용미는 단순히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는 것을 넘어, 청중의 마음을 움직이고 감동을 전하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여긴다. 국제 무대에서의 경험과 국내 활동을 바탕으로 한국 성악계의 발전과 새로운 음악적 시도의 다리 역할을 이어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활발한 연주와 교육 활동을 병행하며 예술가로서의 여정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

  • I have always loved playing the piano and singing. During high school, my music teacher suggested that I should consider studying vocal performance professionally. That suggestion made me reflect on the possibility of an extraordinary life devoted to music. Therefore, without hesitation, I decided to pursue it.

    원래 피아노 치고 노래하는 것을 좋아했는데, 고등학교 재학 시절 음악 선생님께서 성악을 전공해볼 것을 제안하셨고, 문득 음악가로서의 삶이 아주 특별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고민없이 바로 선택했어.

  • I am particularly drawn to the Italian opera composer Giacomo Puccini. His music, combined with the emotional depth of his operatic stories, resonates profoundly with me.

    이태리 오페라 작곡가 Puccini 를 가장 좋아해. 그의 음악, 그리고 오페라 스토리가 가장 마음을 움직여.

  • Among the two pillars of Italian opera, Verdi and Puccini, I have a personal affinity for Puccini’s works. Nevertheless, my repertoire has included more performances of Verdi’s compositions throughout my career.

    이태리 오페라 작곡가의 양대산맥 베르디와 푸치니 중 푸치니의 음악을 더 좋아하지만 베르디의 곡을 더 많이 연주했어.

  • Around the time of my university graduation, I made my debut as the lead in an opera alongside established professional singers. It was an immensely rewarding experience, one that drew admiration—and even a touch of envy—from many colleagues. That performance remains a defining moment in my career.

    대학교 졸업할 즈음 이미 활동하고 계시는 선생님들과 함께 오페라에 주인공에 데뷔했어. 아주 영광스러운 공연이면서, 많은 음악인들에게 부러움도, 질투도 받았던 공연이야.

  • I have long admired the Italian soprano Mirella Freni, who sadly passed away. Her artistry and expressive style have profoundly influenced me, and I have dedicated significant time to studying and emulating her approach.

    지금은 고인이 된 이태리 소프라노 Mirella Freni 를 아주 많이 좋아하고, 그녀의 연주 스타일을 가장 좋아해서 많이 모방하려고 노력하며 공부했어.

  • I find inspiration in all aspects of life. Relationships with people, the subtle changes of nature, and everyday experiences all shape my emotions, which turn into my musical expression.

    모든 일상에서 영감을 얻어. 사람과의 관계, 자연에서 느끼는 변화들 모든 것이 감정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 같아.

  • There is nothing really special, but I repeat whatever it is until it’s flawless.

    특별한 것은 없지만 뭐든 될 때까지 수없이 반복해.

  • Although I perform regularly, lecture concerts for children and teenagers continue to bring me great excitement. Providing context and explanation during these performances often sparks genuine curiosity in young audiences, giving the performance a unique vitality. This year, I am visiting schools monthly. Each concert is familiar yet always feels fresh and inspiring.

    자주 하는 공연이지만 클래식의 관심도가 많이 낮아지면서 어린이, 청소년들을 위한 렉쳐콘서트가 늘 설렘을 주는 것 같아. 설명을 더한 공연에 청소년들이 보이는 관심이 공연에 힘을 줘. 올해도 매달 학교로 찾아가는 공연을 하고 있어. 매달하는 공연이지만 늘 새로워.

  • The classical music scene hasn’t been flourishing in recent years, resulting in fewer performance opportunities. Nevertheless, I maintain a firm belief that consistent effort inevitably leads to opportunities. By remaining diligent, I continue to perform, even if less frequently than before. To me, persistence is the key to a successful career.

    클래식 음악계가 많이 주춤하고 있어서 예전보다 공연이 많지 않아. 하지만 꾸준하게 노력하면 기회는 꼭 주어진다는 신념이 있지. 그렇게 노력하니 아주 많지는 않아도 늘 공연의 기회가 주어지는 것 같아. 꾸준함이 삶의 정답이야.

  • In our fast-paced world, popularizing centuries-old Western classical music is challenging. The genre naturally appeals to a smaller, dedicated audience. Yet, the ability of classical music to move listeners, even today, demonstrates its enduring power. To reach a broader audience, it is essential to provide context and background before the performance. Lecture-recitals already exist, but there is a need for more innovative and engaging ways to present classical music that resonate with contemporary audiences.

    모든 것이 빨라진 세상에서 옛 서양의 음악을 대중화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야. 정말 좋아하는 사람 소수를 위한 장르가 될 수 밖에 없지. 하지만 수백년을 이어온 음악이 지금 현재에도 소수지만 수백년을 이어온 음악이 지금 현재에도 소수지만 관객에 감동을 준다는 것은 그 장르만의 매력과 저력이 있는 것이야. 작품의 배경이나 내용을 스스로 찾아 감상하러 오는 관객만 줄었다면 이제는 요즘 시대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먼저 주고 그 후 음악을 감상하게 한다면 클래식의 대중화가 더욱 잘 될거야. 물론 지금도 해설이 있는 음악회는 제법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다가갈 수 있는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해.

Get to know more about their evolving musical story right here.

Previous
Previous

Elise Hills

Next
Next

Jeremy Chan